초록
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문해력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가운데, 강조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에서 디지털 학습 도구의 활용에 대한 교사와 강사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와 강사는 디지털 학습 도구가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고 참여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 전반에서의 활용보다 디지털 미디어 교육에서의 활용이 낮고, 비판적 이용에서는 디지털 도구의 활용이 저조했으며, 강사가 교사보다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과정을 세분화하여, 디지털 학습 도구의 활용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디지털 미디어 교육에서 디지털 학습 도구를 활용한 교육 방법을 탐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instructors regarding the use of digital learning tools in digital media education, which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despite the rapidly evolving digital transformation era,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both teachers and instructors recognized digital learning tools as effective in stimulating learners' interest and increasing participation. However, their use in digital media education was lower than in general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digital tools for critical engagement was particularly limited. Additionally, instructors were found to use digital learning tools more frequently than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tegorizes the digital media curriculum and examines the use of digital learning tools within i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teaching methods that incorporate digital learning tools in digital media education in the future.